본문 바로가기

부석사

부석사에는...? 부석사에는 이런 고택과 같은 기분이 드는 곳도 있다. 마당에는 우물도 있고 금방이라도 안방마님이 내다볼 것 같은 분위기가 감돈다. 부석사 종무소 뒷쪽 공양간으로 가는 길에서 담다. 더보기
부석사 가는 길. 부석사 가는 길의 은행나무가 아직은 단풍이 들지 않았다. 해마다 이맘 때면 노랗게 물들었었는데 올해는 영 아닌 것 같다. 너무 이른 시간에 올랐는지 지나가는 사람도 없고 여기 두 사람을 기다리는데 정말 많은 시간을 기다렸다. 이번 주말 부석사를 찾으려고 했던 분들 오시면 실망이 클 듯. (부석사 일주문을 지나서 담다.) 더보기
부석사. 갑자기 부석사의 법고를 두드리는 스님을 한 번 담아야 되겠다고 부랴부랴 부석사를 올랐는데 요즈음은 법고는 치지 않고 범종만 오후 7시에 친다고 해서 헛걸음을 하고 내려오면서 그래도 부석사에 왔는데 빈 손으로는 갈 수 없어 부석사 전경을 한 장 담아왔다. 왼쪽편으로 보이는 붉은 배롱꽃이 있는 뒤에 건물이 우리나라 최고의 목조건물인 무량수전이다. ※ 부석사 법고치는 장면 보러가기 ☞ https://blog.daum.net/changyh169/1975?category=517 더보기
부처님 오신 날. 오늘은 불기 2565년 5월 19일 (음력 4월 8일) 부처님 오신 날이다. 가까이 있는 부석사를 찾아 법당에서 부처님 오신 날을 축하 배례를 드렸다. 예전 같았으면 점심 공양은 산채 비빔밥으로 잘 먹었었는데 이번 초파일에는 점심 공양 대신으로 떡과 물 음료수 1캔을 봉지에 담아주어 코로나 방역에 무척 힘을 쏟는 것을 느낀다. . . . 코로나는 부처님도 어찌할 수가 없는가 보다. ↓부석사 은행나무길을 따라 올라가면 무량수전이 나오고 부처님을 만날 수 있다. ↓ 무량수전 앞에서 내려다 본 연등도 참 아름답게 보인다. 많은 불자들이 이 연등을 달고 자기의 소망을 부처님께 빌었을 것이다. 바라는 바가 꼭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 부석사 대법당인 무량수전 앞에도 많은 이들이 부처님을 찾아 참배를 드린.. 더보기
부처님 오신날. 내일(5월 19일)은 사월 초파일이자 '부처님 오신 날'이다.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절간은 많은 신도들로 모처럼 활기를 띤다. 사찰의 부처님 오신 날 행사도 코로나 19로 인해 예전과는 사뭇 다르게 느껴진다. . . . 부처님의 자비가 온누리에 퍼지기를 기원하며....... 더보기
부석사 당간지주. 문화재 탐방(5) - 부석사 당간지주. 절에 법회나 기도 등의 행사가 있을 때 절의 입구에는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주는 깃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 . . 국가 문화재 보물 제255호로 지정되어 있다. 더보기
부석사를 '태백산 부석사'로 부르는 이유. 부석사를 가면 제일 먼저 만나는 일주문에 '태백산 부석사로'로 적혀있다. 많은 사람들이 소백산 국립공원에 위치해 있는데 생뚱맞게 태백산이란다. 그 이유는 아래 안내문을 읽어 보면 이해를 할 수 있다. 부석사를 그렇게 많이 오르락했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이 안내문을 보았다. 더보기
부석사 무량수전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탑. 문화재 탐방(4) - 부석사 무량수전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탑. 이 두 문화재 설명은 안내판으로 대신한다. . . . 이 두 문화재는 대한민국 국보로 등재되어 있다. 더보기
길. 부석사를 가면 무량수전을 보고 나와 관음전으로 가는 길로 들어서면 이렇게 예쁘고 멋진 길이 나온다. 보통 앞쪽으로만 올라가서는 내려오기 때문에 이 길은 잘 모른다. 누구의 생각으로 만들었는지 모르지만 참 잘 조성되어 있다. 다음 부석사를 오시면 이 길을 한번 걸어보시도록 권해 본다. 더보기
부석(浮石). 경북 영주 부석사에 오면 무량수전 뒷편으로 부석 즉 뜬돌을 볼 수 있다. 그 상세한 내용은 아래 부석 안내판으로 대신한다. 이 안내판을 보면 상세한 내용이 적혀있다. 더보기
부석사에서. 봄이라고 하기에는 아직은 이른 것 같다. 부석사에서 내려다본모습의 산너울은 너무 멋지게 펼쳐지지만 겨울의 기운이 그대로 남아 있는 듯하다. 멀리 보이는 소백산을 보면서 일몰을 담으면 참 멋진 그림이 펼쳐지는데.... . . . 이제는 시즌이 아닌 것 같다. 더보기
풍경. 모처럼 오른 부석사에서 풍경을 담아 본다. 불구(佛具)의 하나로 ‘풍령(風鈴) 또는 풍탁(風鐸)’이라고도 한다. 요령이 손으로 흔들어서 소리를 내는 데 반하여, 풍경은 바람에 흔들려서 소리를 내는 것이 다르다. 특히, 풍경은 경세(警世)의 의미를 지닌 도구로서, 수행자의 방일이나 나태함을 깨우치는 역할을 한다. 풍경의 형태에도 그와 같은 의미가 담겨 있는데, 풍경의 방울에는 고기 모양의 얇은 금속판을 매달아두는 것이 상례로 되어 있다. 즉, 고기가 잘 때도 눈을 감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수행자는 잠을 줄이고 언제나 깨어 있어야 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이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사찰에는 규모의 대소를 불문하고, 법당이나 불탑에는 반드시 풍경을 매달아두고 있다. 요령에서와 같이 화려하고 다양한 조각은 볼 수 .. 더보기
부석사 무량수전과 석등. 유네스코 세계유산 부석사에는 5개의 국보를 보유하고 있는 사찰이다. 여기서 부석사 국보 중에 2개를 만날 수 있다. 국보 무량수전과 국보 무량수전 앞 석등이다. 무량수전에 들어가면 국보 문화재 소조여래좌상을 하나 더 만날 수 있다. 참고로 이제는 국보에 '국보 1호 숭례문' 이라고 메기고 부르던 것을 그냥 '국보 숭례문'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편의상 적어 놓은 숫자가 국보의 서열을 조장하는 것 같아 이를 폐지한다고 한다. . . . 부석사는 나의 놀이터라 자주 올라간다. 더보기
부석사. 부석사가 가까이 있으니 이렇게 눈이 오면 가끔씩 올라간다. 맨날 그 자리 똑 같은 사진이다. 부석사 무량수전 서쪽에는 부석(浮石, 일명 뜬 바위)이 있는데 이 바위는 의상대사를 흠모하던 당나라 선묘(善妙)낭자가 변한 것이라는 전설이 깃들어 있는 부석이다. 더보기
첫눈(2). 첫눈 치고는 너무 많이 온 하루다. 이제 대설주의보는 해제되고 한파 주의보가 내렸다. 이래 저래 애를 먹기는 마찬가지다. 코로나도 극성을 부리고 그냥 이제는 집에서 조용히 지내는 것이 상책이다. . . . 가까운 부석사를 다녀오다. 더보기
부석사. 부석사의 오후 빛이 내린다. 그렇게 좋은 날씨는 아니었지만 한줄기 빛이 부석사에 비치니 그 빛이 밋밋한 하늘을 조금은 보정해 주는 것 같다. 이 정도라도 건질 수 있었다니 천만다행히 아닌가...?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에서 담다.) ※ 부석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다. 2018년 6월에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