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후면

산사. 경북 안동시 서후면에 위치한 천등산 봉정사에서 담다. 더보기
안동 봉정사 대웅전. 경북 안동시 서후면에 위치한 봉정사는 영국 국왕이신 엘리자베스 여왕님이 다녀 가신 사찰로 더 유명해졌다. 봉정사에는 우리나라 목조 건물의 최고를 자랑하는 극락전도 있다. 여기 대웅전은 특이하게도 대웅전 앞으로 툇마루가 있다는 것이다. 이 대웅전은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 지금은 국보 311호 이렇게 쓰지 않고 그냥 국보 '안동 봉정사 대웅전'으로만 사용하기로 했다 한다.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에 있는 목조 전각. 석가모니 불상을 중심으로 문수보살, 보현보살이 봉안되어 있으며, 1962년 해체ㆍ수리 때 발견한 기록으로 미루어 조선 전기 건물로 추정된다. 팔작지붕에 다포식으로, 고려 말에서 조선 초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 준다. 국보 정식 명칭은 ‘안동 봉정사 대웅전’이다. ▼ 봉정사 영산암을 올라.. 더보기
봉정사 극락전(국보제15호). 문화재 탐방(6) - 봉정사 극락전(국보제15호). 봉정사 극락전은 우리나라 목조건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정면 3칸, 측면 4칸의 맞배지붕 주심포 건물로 고려시대의 건물이지만 통일신라 시대의 건축양식을 내포하고 있다. 1972년 실시한 보수공사 때 밝혀진 내용에 의하면 건림 후 첫 수리는 고려 공민왕 12년(1363)이며 그 뒤조선 인조 3년(1625) 2차에 걸친 수리가 있었다. 원래는 대장전이라 불렀으나 뒤에 극락전이라 이름을 바꾸었다. 기둥의 배흘림, 공포(拱包)의 단조로운 짜임새, 내부가구의 고격함이 이 건물의 특징이다. 돌기단 위에 자연석 초석을 배열하였으며 전 불단 벽을 만들었고 그 안에 불단을 설치하였다. 면과 후면 중앙칸에 판문을 달았고 양쪽에는 살창을 달았는데 전면의 판문과 살창은 .. 더보기
외딴집. 들녘 멀리 외딴집에 눈이 오니 더욱 외로워 보인다. (경북 안동시 서후면에서 담다.) 더보기
봉정사 대웅전(국보311호).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봉정사에 있는 조선 초기의 목조건물. 건물 외부로 난간이 돌려진 툇마루가 있는 유일한 예로 사찰건축의 특이한 모습을 보여준다. 1963년 보물 제55호로 지정되었다가 2009년에 국보 제311호로 승격되었다. 간절한 소망을 이루게 해 주소서.... 봉정사를 들어가기 전 일주문에서 기원하는 모습이 참 인상적이다. 더보기
봉정사(1). 대한 불교 조계종 고운사의 말사. 672년(문무왕 12) 의상, 또는 능인 대덕이 창건하고 화엄강당을 지어 신림을 비롯한 제자들에게 불법을 전했다고 한다. 6·25전쟁 때 경전과 사지가 모두 소실되어 창건 이후의 역사는 자세히 알 수 없다. 극락전(국보 제15호)·대웅전(국보 제311호)·화엄강당(보물 제448호)·고금당과, 승방인 무량 해회·만세루·우화루·만세루·우화루 등의 당우, 고려시대의 3층석탑(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등이 있다. 2018년 6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절에 들어서는 산문(山門) 중 첫 번째의 문. 본래 일주문이라는 말은 기둥이 한 줄로 되어 있는 데서 유래된 것으로, 사주(四柱)를 세우고 그 위에 지붕을 얹는 일반적인 가옥형태와는 달리 일직선상의 두 기.. 더보기
간재종택. 조선 중기의 학자인 간재 변중일의 종택.경북 안동시 서후면 소재. 경북 민속문화재 제 131호로 지정되어 있다. 더보기
원주변씨 간재종택 및 간재정. 경북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 위치한 간재종택과 간재선생이 강학을 하던 간재정, 사당, 정충효문 등은 16~18세기에 걸쳐 창건 및 중수된 건물로서 원형이 잘 보전되고 있다. 조선 중기 학자인 간재 변중일(1575~1660)의 종택과 정자이다. 경북 민속문화재 제131호로 지정되어 있다. (경북 안동.. 더보기
안동김씨 태장재사..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26호. 안동김씨 태장재사는 시조인 태사 김선평(金宣平)의 단소(壇所)를 지키고 봉향(奉享)을 위해 영조26년(1750년)건립한 재사(齋舍)이다. 재사는 제수를 준비하는 유사실과 전사청, 참제원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상루(위 1번 사진)는 묘제(墓祭) 뒤에 음복과 문중회.. 더보기